프로의 Stable Diffusion ComfyUI 사용법 : 설치, WebUI 비교, 결과물 퀄리티, 활용 분야
#ComfyUI
#ComfyUI 사용법
#Stable Diffusion WebUI
#스테이블 디퓨전
1. Stable Diffusion ComfyUI, 요새 다들 ComfyUI 사용하신다면서요?
퀄리티 높은 이미지 생성을 위해 프롬프트를 중심으로 여러번 돌려야 했던 Stable Diffusion WebUI A1111과는 다르게, 요즘은 커스터마이징 방식으로 여러가지 노드를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시각화하고 원하는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는 ComfyUI로 그 대세가 이동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ComfyUI 는 입문자 사용으로 적절했던 WebUI 보다, 난이도가 많이 높아졌다는 여론도 생겨났는데요. Stable Diffusion 기반의 플랫폼이지만, 처음 도전하는 이들에게는 설치 뿐 아니라, 노드 구성에 대한 개념도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다소 어렵다고 합니다. 그치만 이 난관만 통과하면.. 놀랄 정도로 달라지는 결과물 퀄리티에 ComfyUI 사용을 절대 후회하진 않는다고 해요.
그래서 준비했어요. 프로가 사용하는 ComfyUI 설치부터 사용법, WebUI와 비교한 장점, 결과물 차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까지 함께 알아봅시다.
* ComfyUI의 개념
ComfyUI는 stable diffusion을 위한 노드 기반의 GUI입니다. ComfyUI에는 여러가지 박스(=노드)를 사용하는데, 이 박스들을 잘 연결해서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결과물에 반영되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세부적인 디테일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ComfyUI의 장점
- 노드 기반의 드리밍 환경: Comfy UI는 노드 시스템을 통해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는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유연한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용자는 노드를 추가하거나 연결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기능과 확장성: Comfy UI는 다양한 기능과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노드를 통해 이미지 업스케일링, 이미지 인페인팅, 컨트롤 넷 등을 추가할 수 있으며, 확장 기능을 통해 작업 옵션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워크플로우 편집 도구: Comfy UI에는 유용한 워크플로우 편집 도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를 불러오고 작업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에는 작업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작업 과정을 공유하거나 추적하기 용이합니다.
- 커뮤니티 지원 및 자료 공유: Comfy UI는 커뮤니티 지원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예제와 자료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커뮤니티를 통해 자신의 작업을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와 소통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2. 그렇다면, Stable Diffusion Webui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 Stable Diffusion WebUI vs ComfyUI?
📌 장단점 비교 Section
- Comfy UI의 장점: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노드 기반의 드리밍 환경, 다양한 기능과 확장성, 이미지 생성 과정의 메타데이터 포함
- Comfy UI의 단점: 아직까지 확장 기능이 제한적, 커뮤니티 및 지원이 상대적으로 적음
- Stable Diffusion의 장점: 다양한 확장 기능과 큰 커뮤니티 지원, 안정적인 성능과 다양한 모델 제공
- Stable Diffusion의 단점: 학습 곡선이 높음, 노드 기반 워크플로우가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 제공
(3) 결정 만들기(Decision-making)
+) 부록 : Custom node? 그냥 노드랑은 어떻게 다른가요?
Q) 커스텀 노드 (Custom Node)
A. ComfyUI를 사용하다보면, 기본 노드만으로는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기본 노드는 진짜 꼭 필요한 기능만 있기 때문에 조금 편하게 사용하려다 보면 새로운 기능이 들어간 노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커스텀 노드(Custom node)입니다. ComfyUI에서는 커스텀 노드를 개발하기 쉽기 때문에 정말 다양한 커스텀 노드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아무 커스텀 노드나 사용하다보면 다른 사람과 워크플로를 공유하기 힘들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널리 사용되는 커스텀 노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그렇다면, 이제부터 ComfyUI 설치 방법부터 활용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ComfyUI 설치
📌 Step 1: Comfy UI 다운로드
📌 Step 2: 파일 추출
📌 Step 3: Comfy UI 실행
4. ComfyUI 활용
(1) 2D/2.5D/3D/컨셉/실사 이미지 제작 퀄리티 수직 상승부터
(2) 게임 리소스/광고 홍보용/패션콘텐츠 등 다양한 작업 및 영상 제작까지
(3) 미드저니와의 연계
5. 마무리하며
- ComfyUI의 장점은 고사양 장비 없이도 노드 연결을 세세히 조정함으로써 결과물의 오류를 빠르게 확인하고, 나만의 워크플로우를 무한대로 생성할 수 있다는 것
- 스테이블 디퓨전보다 뛰어난 결과물 퀄리티의 격차를 낼 수 있고, 활용 범위가 넓다는 점(ex. 게임, 영상, 패션 매거진 등) > 생성 AI의 끝판왕
- 특히 comfy UI는 툴 난이도가 높은 편이며 복잡하나 이를 혼자서 독학하거나 정확히 알려주는 강의 대체재가 없음
- 따라서 comfy UI의 기본적인 필수 기능 학습부터 중급, 고급 스킬까지 배우고, 그 기능을 각 결과물에 어떻게 응용하는지까지 혼자서 구현해보고 싶다면
- ComfyUI 사용법 한 번에 다 배우고 싶다면
- 패스트캠퍼스 강의로 테크니컬과 결과물 구현의 전과정을 한 번에 익힐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