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ing

#엔비디아

#딥시크

#젠슨황

딥시크 논란, 엔비디아 괜찮을까?
지난주에 국내에서 딥시크의 신규 다운로드가 중단됐지? 이용자 개인정보가 중국 SNS인  틱톡 모회사 ‘바이드트댄스’로 넘어가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었어.
딥시크가 등장으로 엔비디아 주가가 떨어지기도 했지? 그동안 엔비디아가 만드는 고성능 GPU가 대량으로 들어가야만, 챗GPT같은 뛰어난 AI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단 말야. 그런데  저렴한 비용의 중국산 GPU를 조금 썼는데도 딥시크 R1같은 모델이 나오자 시장의 반응이 ‘헐?’했던 거지. 다들 ‘엔비디아가 만드는 칩이 아니어도 된다는 건가?’라는 생각을 했을 테니까.




Jensen Huang, co-founder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Nvidia Corp

딥시크 영향으로 시가총액 증발한 엔비디아
실제로 딥시크의 R1이 공개되자마자 엔비디아의 주가는 하루만에 16.0% 하락했어. 3일 만에 엔비디아 시가총액의 6천억 달러(우리 돈으로 800조 원)이 날아가버렸지.
최근 인터뷰에서 젠슨 황이 딥시크와 엔비디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언급했길래, 관련된 내용을 좀  알아봤어. 모 인터뷰에서 직접 딥시크의 R1이 아주 흥미로운 모델이라고 인정한거지. 다만, R1이 등장하면서 이제 엔비디아가 만드는 고성능 GPU가 더이상 필요없어질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사실은 아니라고 설명했어. 오히려 AI 산업이 더 흥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는 거지. 시장 자체가 더 커지고 활성화되면서 엔비디아 제품이 꾸준히 필요해질 거라는 전망이야.




TSMC 아닌 기업에 생산 맡길 수도…젠슨 황 깜짝 발언 | 한국경제젠슨 황이 여유부릴 수 있는 이유
황의 말을 그대로 정리해볼게.
“R1이 나오고 다들 ‘AI는 이제 끝났어’, 했지만 사실은 그 정반대다. 그동안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효율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AI 시장은 더 확장될 것이고, 모든 산업에 AI 적용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의 AI 모델이 큰 발전을 이뤄냈음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더 깊이 있는 추론 능력에 더 높은 연산 자원(엔비디아가 만드는)이 필요하다.’


딥시크, 오픈 소스 사상 최대 규모 LLM 출시..."GPT-4o 따라 잡았다" < 산업일반 < 산업 < 기사본문 - AI타임스
 
젠슨 황의 말이 맞는 걸까?  
딥시크 충격 이후 한 달이 흘렀어. 그동안 엔비디아의 주가는 손실을 거의 회복했지. 조만간 4분기 실적 발표가 있을 텐데, 여기서 엔비디아의 자세한 논평이 나올 듯 해.
한편, 딥시크의 등장으로 챗GPT가 수혜를 입었다는 말이 나오고 있어. 딥시크가 이용자들의 정보를 중국 모기업으로 넘긴다는 사실이 알려진 직후 챗GPT 이용량이 더 늘어났거든. 아마 정부 뿐 아니라 공공기관 중심으로 보안 이슈 때문에 딥시크를 사용금지하니까, 챗GPT가 반사 이익을 본 것 같아. 인공지능이라는 주제 자체에 쏠린 사회적 관심이 챗GPT에 대한 수요로 반응한 게 아닐까 짐작해.

[출처]
techcruch: Nvidia CEO Jensen Huang says market got it wrong about DeepSeek’s impact
SBS: 딥시크 이용 금지 파장?…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어
 

이런 글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