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AI 트렌드

  • 랜덤성이 강한 AI 아트웍으론 내 스타일을 구축하기 어렵다?ㅣAI 아트웍 오해와 진실

    랜덤성이 강한 AI 아트웍으론 내 스타일을 구축하기 어렵다?ㅣAI 아트웍 오해와 진실

    미드저니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로 접근성이 뛰어나지만,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 운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연히 멋진 이미지를 생성하더라도 그것이 일회성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죠. 

    그러나 이 한계를 극복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일관되게 구축해 AI 아트웍을 만드는 아티스트가 있습니다. 지금 만나볼 AI 아티스느는  미드저니의 랜덤성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며 독창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고 계신데요!

    패스트캠퍼스와 벌써 2번째 강의를 만드신 GSFT 김지현 강사님을 소개합니다!

     

     

     

    Q1. 안녕하세요 강사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AI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김지현입니다

    저는 브랜딩 스튜디오에서 근무하며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한 AI 아트웍 작업을

    통해 다양한 기회를 만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AI 비주얼 프로덕션 그룹 GSFT를 공동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호기심으로 시작된 생성 AI를 활용한 이미지 제작은 뷰티, 패션, 매거진 브랜드와 협업할 기회를 열어주었고, 앞으로 AI 이미지가 실무에 활용될 무한한 가능성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저를 여러 기회로 이끌어 준 저만의 AI 활용법을 공유하며,

    AI 창작 과정에서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나누고자 합니다.

     

    여러분에게도 새로운 가능성과 영감을 드릴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웃음)

     

     

     

    Q2. 유슈의 글로벌 브랜드와 AI 프로젝트로 협업할 수 있었던 지현님만의 비결이 따로 있으신가요?

     

    기존 AI 작업 스타일과 차별화된 저만의 스타일을 개발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미드저니 등 AI 창작 도구가 대중화되면서 많은 작업들이 비슷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작업 초기부터 제 작업만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를 위해 AI 도구를 단순히 사용하기보다는, 창작 과정에서 스토리를 담으려 노력했죠. 이러한 차별화된 접근법이 여러 사람들에게 주목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유수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 기회를 만들어 준 원동력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협업을 위한 유연함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너무 강렬하거나 고집스러운 스타일을 추구하면 다른 브랜드와의 시너지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스타일을 유지하되 브랜드의 정체성과 목표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여지를 항상 열어두려고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와의 소통을 통해 각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제 작업이 브랜드의 스토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적절한 조율을 합니다. 결국, 독창성과 유연함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글로벌 브랜드와의 성공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한 핵심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Q3. AI 아트웍 작업시 지현님만의 특장점이 있다면?

     

    AI 아트웍 작업에서 저만의 가장 큰 특장점은 단순히 도구를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명확한 스토리를 기반으로 스타일을 만들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한다는 점입니다. 제 작업은 항상 프로젝트의 본질과 목적을 고려하며, 클라이언트의 요구와 저만의 창작 철학을 조화롭게 녹여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AI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넘어, 결과물에 스토리와 가치를 더하는 작업 방식으로 이어집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6가지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제가 실질적으로 작업하는 방식을 단계별로 공유합니다. 프로젝트 기획부터 실질적인 제작 과정까지, 저의 작업 워크플로우를 그대로 공개하여, 저만의 AI 아트웍 작업의 특징과 접근 방식을 깊이 있게 공유합니다. 특히, 강의에서는 미드저니 등 제가 작업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스타일 개발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자신만의 창작 방향을 설정하고,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창작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Q4. 이번 패스트 캠퍼스와 강의를 준비하고 계시는데 어떤 내용을 담았고, 어떤 분들께 도움이 되는 강의일까요?

     

    이번 강의에서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할 수 있도록 미드저니 스타일 레퍼런스 코드 1000개를 공유합니다. 이 스타일 레퍼런스 코드들은 다양한 창작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이를 활용해 독창적인 스타일을 만들어가는 방법과 실질적인 팁을 나누고자 합니다.

     

    단순히 미드저니 AI툴의 사용법을 익히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개인의 창작 정체성을 정립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강의 내용은 창작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만의 시그니처 스타일을 정립함으로써 브랜드와의 협업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강의는 생성형 AI에 처음 입문하는 초급자와 이미 경험이 있는 중급자 모두에게 추천할 수 있습니다.

     

    초급자

    생성형 AI가 처음인 초급자에게는 기본적인 툴 활용법부터 자신만의 창작 방향성을 설정하는 방법까지 단계적으로 안내하는 강의가 될 것입니다. AI 툴 사용법을 빠르게 익히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하는 첫걸음을 제공하며, AI를 단순히 사용하는 법을 넘어 창작 과정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창작 여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강의가 될 것입니다.

     

    중급자

    생성형 AI에 이미 경험이 있는 중급자에게는, 자신의 창작 프로세스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는 강의로 추천합니다. 기본적인 내용을 넘어서 독창적인 스타일 구축, 실무 적용법 등에 초점을 맞춥니다. 특히, 자신의 스타일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방법, 다양한 창작 전략 등 실질적인 노하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독보적인 AI 아티스트 김지현님만의 워크플로우와 스타일 레퍼런스 활용 방법이 궁금하다면?

    ▶미드저니 스타일 레퍼런스의 진실ㅣ감도 높은 디자인은 뭔가 다르다?!



    https://buly.kr/FhMxUgD

     

  • 초간단 AI 끝판왕 미드저니 : 고퀄 이미지 1분 생성하는 법

    초간단 AI 끝판왕 미드저니 : 고퀄 이미지 1분 생성하는 법


     

    AI 기술의 발전은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도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미드저니는 누구나 쉽게 고퀄리티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놀라운 도구입니다. 복잡한 그래픽 디자인 기술이 없어도 단 몇 초 만에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이 도구는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I 사용법을 익혀 미드저니로 고퀄리티 이미지를 빠르게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AI 이미지 생성이 당신의 삶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미드저니? 왜 주목받고 있을까?

    미드저니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플랫폼입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분석해 적합한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 도구는 일러스트, 실사 사진, 컨셉아트, 심지어 상업용 광고 이미지까지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AI 사용법을 제대로 익힌다면, 미드저니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창의적인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간편함: 복잡한 그래픽 툴 없이 텍스트만으로 이미지 생성

    * 다양성: 원하는 스타일, 주제, 분위기를 자유롭게 선택 가능

    * 시간 절약: 몇 분 안에 프로페셔널한 결과물 생성

     


     

    2. 미드저니 프롬프트 활용 사례

    2.1 일러스트 제작

     

     

    미드저니는 감성적이고 독창적인 일러스트를 손쉽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동화 속 숲을 배경으로 한 판타지 캐릭터”라는 프롬프트로 완성도 높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AI 사용법을 제대로 활용하면 더욱 창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사용 사례: 동화책 삽화, 아트 포스터, 캐릭터 디자인 등

    * 결과물 예시: 몽환적인 색감과 세부 디테일이 강조된 작품

     

     

    2.2 실사 이미지

    실사 같은 사진을 원하는 경우에도 미드저니는 탁월합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해변의 일몰 풍경”이라는 프롬프트는 여행 사진 같은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AI 사용법을 응용하면 조명, 색감 등 세부 요소까지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사례: 블로그 배경 이미지, 여행 홍보 자료 등

    * 결과물 예시: 사실적인 색감과 조명이 인상적인 사진

     

     

    2.3 컨셉아트 & 커머셜 이미지

    게임 개발자나 영화 제작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컨셉아트 또한 미드저니로 제작 가능합니다. “사이버펑크 도시 배경” 같은 프롬프트로 독창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보세요. 이처럼 AI 사용법을 창의적으로 응용하면 한층 더 혁신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사용 사례: 게임 배경, 영화 스토리보드, 광고 비주얼 등

    * 결과물 예시: SF 장르에 어울리는 미래적이고 세밀한 디테일

     

     

    2.4 이모지 및 심볼

    간단한 아이콘이나 이모지를 만들고 싶다면 “귀여운 고양이 이모지” 같은 프롬프트로 깜찍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의 다양한 옵션과 AI 사용법을 익히면 이런 작업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사례: 소셜 미디어 콘텐츠, 앱 디자인

    * 결과물 예시: 감각적인 캐릭터와 심플한 디자인

     

     


     

    3. 미드저니로 문제를 해결하고 가능성을 열어보자

    AI 이미지 생성은 시간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며 창작의 한계를 없앱니다. 미드저니는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창작자로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특히 AI 사용법을 숙지하면 창작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고퀄리티 이미지가 필요하지만 시간이 부족하신가요?”

    * “비싼 디자이너 없이도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원하시나요?”

    * “미드저니로 창작의 한계를 넘어서세요.”

     

    AI 사용법을 익혀 미드저니와 함께라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창작의 장벽을 허무는 데 탁월한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https://bit.ly/3ZWtp23

  • 2025년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7가지 AI 추천 (feat. GPT 활용법)

    2025년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7가지 AI 추천 (feat. GPT 활용법)

    AI 기술이 직장에서 어떻게 변화를 이끄는지 궁금하신가요? 2025년은 업무 방식이 AI와 긴밀히 결합되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특히 GPT 기술은 직장 내에서 효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직장에서 살아남고 더 나아가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GPT 활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ChatGPT로 본 2025년의 새로운 업무 환경

     

    출처 : 뉴스저널리즘, 뉴스원, 산업종합채널

    최근 AI 관련 기사는 2025년 직장 환경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ChatGPT와 같은 언어 모델이 직장 내에서 문서 작성, 데이터 분석,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등의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 전망합니다.

    또한 다양한 AI 강의가 이를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직장인들에게 새로운 기술 습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GPT 활용법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제대로 활용한다면 누구나 미래형 직장인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GPT 활용법으로 성과를 높이는 3가지 실전 팁

     



     
     

    1. 문서 작성에서의 AI 추천 활용: 빠르고 정확한 업무 보고서 작성

    GPT는 단순히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 이상으로, 직장에서 필요한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GPT 활용법을 익히면 이메일 작성, 프레젠테이션 준비, 보고서 작성 등에서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분석과 보고: 직관적 인사이트 도출

    GPT는 복잡한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며, 이를 쉽게 풀어 설명하거나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데이터 입력과 질문만으로도 효과적인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활용 사례: “2025년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기회 5가지를 알려줘”라는 요청으로 트렌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3. 협업과 창의성 증대: 브레인스토밍 도우미

    팀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가 막혔다면, ChatGPT를 활용해 다양한 관점에서 새로운 해결책과 아이디어를 제안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창의적 도구를 넘어 효과적인 협업 파트너로 자리잡게 됩니다.

    * 팁: 아이디어뿐 아니라, 실행 가능한 전략을 요청해 보세요.

     


     

    AI 강의와 GPT 활용법으로 2025년에 대비하기

    AI 강의를 통해 GPT 활용법을 배우는 것은 단순한 기술 습득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 능률 향상은 물론, AI 시대에 걸맞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2025년의 AI 기술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업무 환경 전반을 업그레이드할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차근히 AI 강의를 수강하며 자신만의 활용법을 찾아보세요.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미래를 따라잡을 기회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GPT 활용법과 AI 강의를 통한 변화를 직접 경험하며 더 나은 직장인이 되는 길에 함께하세요. 새로운 강의와 함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만나보세요!

     


     

    대한민국 모든 직장인을 위한
    AI 활용 강의,

    지금 시작해야 안 늦습니다.

    ★ 강의 보러가기 ★ 

     

  • 데이터, 이렇게 해석하세요! 한번에 컨펌 받는 데이터 해석 방법

    데이터, 이렇게 해석하세요! 한번에 컨펌 받는 데이터 해석 방법

    상사 설득에 실패하는 이유, 알고 계신가요?
    많은 직장인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상사의 컨펌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열심히 준비한 보고서와 프레젠테이션에도 불구하고, “이게 왜 중요한지 모르겠어.” 또는 “이 데이터가 의미하는 게 정확히 뭐야?”라는 피드백을 받으며 설득에 실패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그 이유를 데이터 분석만이 아닌 데이터 해석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해석,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 데이터 분석&해석 전문가인 이상석 강사님을 모시고 그 해답을 여쭤보겠습니다.😊

     

    1. 간단하게 강사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어린 시절부터 사람과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에 관심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HR과 데이터 분야를 융합하는 방향으로 성장해온 이상석 데이터 연구원입니다. 신입사원부터 차장까지 1,000회가 넘는 보고를 해오면서, ‘감’이나 ‘직관’으로 의사결정하는 것의 한계를 체감했고, 그 답을 ‘데이터 기반 보고’에서 찾았습니다. 경험과 ‘라떼’로 무장한 상사(혹은 고객)를 설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데이터였습니다. 많은 강의들이 데이터 분석을 하는 방법에 집중하지만, 데이터 분석은 우리가 설득하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데이터를 더욱 잘 다루기 위해 미국 듀크 대학교 데이터 사이언스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HR Analytics 팀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입사부터 퇴직까지의 HR 데이터를 데이터 레이크에 담아 채용, 승진, 이동,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 HR 정책 효과성 측정 및 개선에 활용했고, 감정 분류 모델, 인재 추천 시스템, HR 면접관 추천 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했으며, London Text Analytics, AI Summit Seoul, HR AI Forum 등의 콘퍼런스에서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2. 많은 직장인이 보고시 상사 설득에 실패해 고통받는데 설득에 실패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첫번째 이유는 ‘본인의 생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설득에서 힘을 가지는 것 중에 하나는 화자의 신념과 내용이 일치할 때인데, 조직의 특성상 보고를 위한 문제인식의 최초 단계가 컨펌자로부터 오면서, 애초에 본인 생각으로 시작하지 않은 보고 주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혹시 나의 고민으로 시작했다고 하더라도, 중간에 보고를 해 나가면서 본인이 제안했던 방향을 수정해 나가면서 누더기처럼 보고내용이  중첩돼 가고, 최종 보고시에는 원래 제안자가 생각했던 방향과는 완전히 변형된 것을 본인이 보고자가 되어 발표하게 되는 경우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경험과 직관을 가진 상사를 설득하는 것은 본인이 더 많은 경험을 가지지 않는 이상 불가능합니다. 현실적으로, 상사보다 경험이 많은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드물기 때문에 우리가 보고를 할 때 상사에게 별다른 논리 없이 수긍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두가지 원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활용해서, 데이터 기반의 보고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3. 그렇다면 올바른 데이터 해석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당신이 미슐랭 5스타에서 일하는 주방장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고객에게 맛있는 요리를 대접하려고 할 때의 과정을 생각해 보면, 고객이 어떤 요리를 주문했는지를 먼저 파악하고, 그에 따라 무슨 재료가 있는지, 썩은 재료나 빠진 재료가 없는지 확인한 다음, 각 재료들을 어떻게 요리할지 (익힐지, 삶을지, 구울지 등) 를 정하는 것도 주방장의 아주 중요한 역량입니다. 요리가 끝나면, 고객의 취향에 맞는 요리를 예쁜 접시에 올려서 가져다 줍니다. 데이터 기반의 보고하는 방법도 마찬가지입니다.

    상사 혹은 고객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목표 설정: Objective
    때로는 상사 혹은 고객이 본인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를 때도 있는데 여기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통해 컨펌자의 니즈를 명확히 끌어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내가 원하는 분석의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정리(정제)해 줍니다. 

    2) 데이터 선정: Necessary Data
    데이터의 유형과 설득하는 방식에 어울리게 분석방법을 결정합니다. 

    3) 분석방법 결정: Analytics
    상사 혹은 고객이 이해하기 쉽고,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문서 혹은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하는 과정이 있고

    4) 해석 및 검증: Interpretation
    최종적으로 상사 혹은 고객의 목표 설정에 부합하는 최종 보고 및 피드백을 받습니다. 

    5) 보고:Report

    각 단계의 첫 글자를 따서 ON-AIR 분석절차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이 때 모든 과정에서 보고 대상자 혹은 의사결정자와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절대 잊어서는 안됩니다.

     

     

    4. 강사님만의 방법으로 실제로 데이터 공유에 민감한 HR 부서에서 “데이터 통합 활용”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내셨는데, 설득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셨던 것은 무엇이였고, 이를 통해 어떤 인사이트를 얻으셨나요?

    공공기관 특성상 의사결정자의 보직이 장기간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었고, 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직원들의 행동변화를 보는 프로젝트보다는, 현재 보유된 데이터를 통해 바로 실현가능하면서도 비지니스 임팩트가 있는 것들에 집중했습니다.  당시 타사 HR Analytics팀의 주요 주제였던 ‘이직율 예측 분석’ 관련해서, 평균 이직율이 10%가 넘는 민간기업 대비 평균이직율이 5~6%인 공공기관의 경우 과연 해당 주제의 비지니스 임팩트를 데이터 기반으로 고민해 볼 필요가 있었는데요. 오히려 이직율이 낮기에 재직기간이 길어지는 직원의 생애주기 관점에서 직무순환 혹은 사업소 이동 등에 대해 심층분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주제였습니다. 또한 공공기관의 특성상 효율성 뿐 아니라 공정성(투명성)에 대한 평가도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라 아래 그림과 같이 공정성과 효율성 관점의 프로젝트들을 선정하여 시행했습니다. 

     

    여기서 데이터 통합이 가능하게 하는 핵심은 현재 보유한 데이터를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을 우선시하되, 그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Data Lake’라는 이름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각 부서에서 파편화된 데이터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직원들의 데이터들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정리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양적인 데이터 뿐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들도 Data Lake에 연결되면서 추후 멀티모달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게 하는 초석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되었어요. 

     

     

    5. 설득 과정에서 힘들었던 점과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알려주세요.

    우리는 의사결정자 혹은 상사만을 설득의 대상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는 주변 부서의 동료 및 실무자들도 의사결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데이터 통합 이라는 어젠다가 나왔을 때, 대부분의 HR 부서 반응은 데이터 공유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인걸 보면 알 수 있죠. 첫번째 보안의 문제. HR 데이터 자체도 대부분 개인정보라 민감하기도 하지만, 특히 그 중에서도 평가 데이터, 상벌, 근태 등의 데이터들은 해당 부서 내에서도 특별히 관리가 되는 부분이라 쉽게 내줄 수 없는 상황이였습니다.

    두번째 잠재적 추가업무의 문제. 혹시라도 이 데이터를 통해 추가적인 업무가 생길 것 같은 걱정이었습니다. 해당 부서에서 오랫동안 보유하고 있던 데이터를 정제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지만, 그것보다 심각한 것은 HR analytics 팀이 모든 성과를 갖고 해당 부서는 옆에서 보조적인 역할만 한다면 협조할 동기부여가 생기기는 힘든 상황이였죠. 

    첫번째 보안의 문제는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변형한 다음 활용하는 것으로 해결했지만, 두번째 잠재적 추가 업무에 대한 문제가 핵심이었는데, 해당 부서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활로를 찾았습니다. 즉, HR Analytics 팀이 원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해당 부서에서 고질적으로 고민하던 문제들을 데이터 기반으로 해결해주는 것이었는데요. 이렇게 되면 해당 부서의 성과로도 연결되면서 해당 부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그 데이터를 동시에 정제하면서 데이터 통합의 큰 목적에도 부합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 기반으로 일하는 공감대를 확장시키면서 HR Analytics 팀의 필요성과 정체성을 인식시키고, 추후 프로젝트 협업시 긍정적인 회신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6. 강의에서 주로 어떤 내용(이론 및 실습)을 다룰 예정인지 말씀해 주세요.

    그간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소통과 보고를 하며 느낀 데이터의 힘과 실제로 업무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보고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누고자 이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기반 보고를 위한 문제를 정의하는 첫 단계부터, 시각화, 통계 분석, 예측 모델, 텍스트 분석 등의 상황별 분석방법, 최종적으로 상사(혹은 고객)를 만나 설득하는 과정까지의 전 단계를 여러분이 직접 해 볼 수 있도록 가이드해 드립니다.

    놀라운 것은 이 모든 분석을 챗GPT (무료버전) 와 함께 노코딩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 강의를 통해 직장에서의 일잘러를 넘어, 개인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쌓고, 자신의 분야에 데이터 분석을 탑재한 전문가로서 독립적으로 성장하시는 여러분을 돕겠습니다.

    현재 일하는 분야에서 전문성을 고민하시거나 ‘통하는 보고’를 고민하고 계신다면, ‘데이터 기반 보고’로 당신의 엣지를 높여보세요.

     

     

    7. 상사를 설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직장인을 위한 꿀팁 및 조언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1) 중간보고가 핵심이다: 종종 우리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준비한 다음 상사에게 보고하려 하지만, 사실 상사 입장에서 생각했을 때는 최대한 빨리 보고의 방향성을 잡고 구체적인 디테일을 가져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가져가기 위해서는 상사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중간보고가 핵심입니다. 

    2) 보고는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보고는 보고를 받는 사람의 의사결정을 위해 존재합니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보고받는 사람이 궁금해하는 것 위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보고가 끝났다고 모든 일이 끝난 것이 아니다 : 준비한 대로 보고를 잘 마쳤다면 큰 목표를 달성한 셈입니다. 하지만, 한 번의 보고로 모든 일이 마무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후 추가조치사항 혹은 추가보고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의사결정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성장을 위해서는, 보고를 끝낸 후 다른 과업으로 바로 몰입할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해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지식이 가득한 상태일 때 체계적으로 시간을 들여서 정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의 바로 구경가기★

    https://buly.kr/FsHheLi

     

  • 컴퓨터 비전 취준생을 위한 2025 최신 & 필수 기술 총정리 (2D/3D Vision, 멀티모달, Visual SLAM)

    컴퓨터 비전 취준생을 위한 2025 최신 & 필수 기술 총정리 (2D/3D Vision, 멀티모달, Visual SLAM)

    | 컴퓨터 비전 취준생, 최신 기술을 익혀야 하는 이유는?

     

    면접 시 신입에게 확인하는 주요 체크 포인트로는 관심도/ 패기/ 기본기 등이 있는데요. 기술의 발전 속도가 굉장히 빠른 현시점에는 최신 기술의 습득 속도 (하다못해 그 기술을 이해하고 있는가)가 중요한 합/불 판단 요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해보자면 최신 기술이 이전 기술의 어떤 부분을 바탕으로  나온 것인지, 패러다임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현 시장 상황 등 단순히 기술 이름을 알고 있는가가 아닌, 기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래야 내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펀더멘탈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이런한 최신 기술의 흐름을 잘 알고 있는지가 실제 면접장에서는 합불을 판가름하는 키포인트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기술부터 최신 기술까지! 2D/3D Vision, 멀티모달, Visual SLAM 기술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 2D 컴퓨터 비전

    ▶ ViT :  Dino V2

    ViT 모델 중 현재 SOTA라고 할 수 있는 모델인데요. 이미지 분류 시, 레이블이 적거나 없는 데이터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입니다.

     

     

    ▶ 실시간 Object Detection : Yolo v11, Grounding Dino

    Yolo V11을 활용한 실시간 객체 감지

    Yolo V11은 이전 모델 대비 아키텍처와 학습 방법에서 중요한 개선을 도입하며 특징 추출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이에 더 빠른 속도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데요. 객체의 크기와 복잡한 배경에서도 감지 성능이 뛰어납니다.



    Zero-Shot Object Detection이 가능한 Grounding Dino

    Grounding Dino는 텍스트만으로 객체를 검출하여, 새로운 클래스 내 Annotated Data 없이도 객체 탐지가 가능합니다.

     


    ▶ Semantic Segmentation : Mask R-CNN ,SAM

    객체 구분 및 분할의 정확성을 올린 Mask R-CNN 

    해상도 처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lAlign을 도입해서 분할 정확도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이에 정확한 객체 경계 표현 및 다양한 객체 크기 처리 등이 용이해졌습니다.

     

     

    Zero-Shot Learning을 활용한 SAM(Segemnt Anything)

    Zero-Shot Learning(ZSL)은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서 보지 못한 클래스(또는 객체)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데요. 개와 고양이를 학습한 모델이 “코끼리”라는 설명만 듣고 코끼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객체나 클래스에 대한 추가 학습 없이도 객체 탐지가 가능합니다.

     
     
     
     
     
     
     

    ▶ Human Pose Estimation : RTM-Pose, ViT Pose, Pose Anything


    Classification을 활용하여 좌표를 예측하는 RTM-Pose

    Gaussian Label Smoothing 방법을 사용하여 포즈의 X, Y 축을 분류해 포즈를 추정합니다.

     



    ViT를 백본으로 사용하고 가벼운 디코더를 활용한 ViT Pose

    특별한 도메인 지식 없이도 전역적 특성 추출 능력으로 더 자세하게 포즈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학습 데이터가 없어도 자세 추정이 가능한 Pose Anything

    객체의 각 Key Point 간 연결을 고려한 GNN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포즈를 추정합니다.

     

     

     

     

    | 3D 컴퓨터 비전

    현재 IT 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자율주행, AR/VR, 로봇 내비게이션 등 최신 기술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기술로, 3차원 공간 정보를 추정하여 모델을 생성합니다.

     

    ▶ 3D Object Detection : SMOKE, ImvoxelNet 

    1개의 Bounding Box에서 정보를 얻어 객체를 표현하는 SMOKE 

    객체 단일 Keypoint 추정과 회귀를 통해 얻은 3D 변수를 결합하고 3D Bounding Box를 예측하여 객체를 검출합니다.

     


     

    2D 이미지의 특징을 3D Voxel Grid로 표현하는 ImvoxelNet

    3D Point Cloud나 LiDAR 데이터 없이도 이미지 기반 특징만을 활용하여 3D 환경에서 객체를 검출합니다.

     

     


    ▶ 3D Depth Estimation : MonoDepth, MonoDepth, RAFT-Stereo

    1개의 이미지로 Depth를 추정하는 MonoDepth

    Depth를 추정하기 위해 1개의 이미지만을 넣고 Disparity(시차)를 찾아나갑니다. Transformer 기반으로, 전통적인 CNN보다 더 정확한 깊이 예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환경에서 정확도를 개선하는 MonoDepth

    MonoDepth는 각 이미지 픽셀 별로 깊이 구간 별 중심을 예측하여 Depth를 추정합니다.

    초기 모델은 각 픽셀의 깊이를 연속적으로 회귀 방식으로 예측했는데요. 최신 기술에서는 깊이를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깊이 구간 중심값을 학습하는 접근 방식이 추가되어 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깊이 추정이 가능해졌습니다.

     

     

    스테레오 매칭 문제를 해결하여 깊이를 추정하는 RAFT-Stereo

    RAFT-Stereo는 3D Depth Estimation에서 핵심 병목 현상이었던 Disparity 추정 문제를 해결하였는데요. 좌우 스테레오 이미지 쌍을 사용해 각 픽셀의 시차(Disparity)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깊이를 추정합니다. RAFT-Stereo는 특히 정밀한 시차 계산과 효율성을 강조한 최신 기술로, 자율주행, 로봇 공학, 3D 재구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3D Reconstruction : Dust3R, VGGSfM, MASt3R

    SfM을 응용한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대표 3가지 복원 방법입니다.

    혹시 아직 COLMAP만 사용해 보셨나요? 이젠 VGGSfM과 MASt3r의 시대라 할 수 있는데요. VGGSfM과 MASt3r도 한번 사용해 보는 건 어떠신가요?

     

    2D-3D Mapping Network를 사용하여 3D 복원을 구현한 Dust3R

    Dust3R는 Transformer 모델을 활용하여 3D 공간에서 이미지 매칭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End to End로 더 강인한 3D 복원 방법을 
구현한 VGGSfM

    VGGSfM은 이미지 트래킹에서 도출되는 포즈 추정부터 Solver 까지 모두 엮어 3D 복원합니다.

     


     

    3D 환경에서 이미지 매칭 문제를 다룬 MASt3R

    MASt3R은 DUSt3R의 개선된 모델로, 이미지 매칭을 3D로 다루면서 복원 퀄리티를 높였습니다.




     

    ▶Neural Rendering : NeRF, 3DGS(3D Gaussian Splatting)

    Volume Rendering 기법을 활용하는 NeRF

    NeRF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공간 상의 색과 밀도가 누적된 결과로 표현하고,

    이를 역으로 활용하여 공간의 모습을 추정합니다.

     



    100FPS 이상 빠른 렌더링 속도를 보여주는 3D Gaussian Splatting

    3D Gaussian Splatting은 기존 3D 렌더링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100FPS 이상의 렌더링 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는데요. 각 이미지 screen마다 모든 3D Gaussian을 projection 한 후, 작은 단위의 tile로 나눠 각 tile마다 color & opacity accumlation을 병렬로 실행합니다.

     

     

     

     

    | 멀티모달 AI

    AI의 발전에 따라 CV에서도 단순한 이미지 분석을 넘어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멀티모달이 각광받는 중인데요. 멀티모달에 필요한 기술들을 나열해 보자면 아래와 같은 기술들이 있습니다.

     

    ▶ CLIP(Contrastive Language-Image Pre-Training)

    멀티 모달의 시초라 할 수 있는데요. 대규모 이미지-텍스트 쌍의 데이터 셋과 Contrastive Learning을 활용하여 이미지-텍스트 간 유사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Grounding DINO

    위에서도 설명드린 Grounding DINO는 이미지 학습 단계에서 새로운 클래스나 레이블이 없이도 클래스 인식과 처리가 가능합니다.

     

    ▶ Flamingo

    Input 데이터로 이미지와 텍스트 모두 받아 그에 대해 가장 적절하게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 LLaVA

    이미지-텍스트 쌍 데이터가 단순 이미지를 설명하는 pair 형식이 아닌 이미지를 포함한 지시문 데이터 형식을 제안합니다.

     

    ▶ BLIP

    Frozen 이미지 인코더와 Frozn LLM 사이의 Information Bottleneck 역할을 수행하는 Q-Former를 활용하여 LLM의 텍스트 Output에 Visual Feature을 제공합니다.

     

    ▶ PaLM-E

    로봇틱스를 위해 개발된 멀티모달 모델로써, 멀티모달 모델 PaLM을 로봇 에이전트로부터 얻은 센서 데이터로 보완함으로써 구체화(Embodied)합니다.

     

     


     

    | 카메라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Visual SLAM

    최근 컴퓨터 비전 연구들은 영상으로부터 여러 물체들을 인식하고 깊이를 추정하며 주위 환경을 3D로 복원하는 복잡한 작업이 탁월한 결과를 보여주는 중인데요.

     

    특히, 로봇같이 주위 환경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고 어떻게 행동할지 결정하는 과정에서 영상 정보는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부터 드론, 휴머노이드 로봇, 강아지 로봇 등이 주목받는 시점에, Visual SLAM은 이런 자동차/로봇들에게 ‘눈’과 두뇌가 되어주는 매우 중요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Visual SLAM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1. Visual SLAM의 기본이 되는 3D 회전과 이동,  카메라 투영 방법

    2. 영상 처리와 다중 시점 기하학 (영상처리 기법과 모션 추정 방법)

    3. 비선형 최적화(여러 시퀀스에서 얻은 이미지들의 동일한 지점을 관찰하여 노이즈 데이터를 처리)

    개념을 익혀야 하는데요.

     

    필수 개념들이 너무나 많기에, 이 중 영상처리와 다중 시점 기하학 관련 몇 가지만 개념만 소개해 보자면

     

    ▶ Local Feature Detection

    특징점은 SLAM의 기본 단위로, 안정적인 추적과 매칭을 위한 시작점입니다.

    두 개의 이미지 사이에서 공통된 3D 공간인 Local Feature를 검출합니다.

     


     

    ▶ Local Feature Matching

    두 개의 이미지 사이에서 공통된 3D 공간인 Local Feature 간의 매칭을 합니다.

    특징점이 검출된 후, 매칭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에센셜 행렬 계산과 같은 후속 작업이 가능한데요. 두 프레임(또는 시점) 간의 특징점 대응을 통해 모션과 구조를 추정합니다.

     

     


     

    ▶ Epipolar Geometry

    다중 시점 간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해하고, 필터링을 통해 올바른 매칭을 유지합니다. 에센셜 행렬(Essential Matrix)과 기본 행렬(Fundamental Matrix)의 이론적 기반이 됩니다.

     

     


     

    ▶ Essential Matrix

    정규화된 이미지 평면에서 매칭 쌍들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를 다룹니다. 카메라 경로를 계산하고, 구조를 복원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카메라의 내재 파라미터를 고려한 모션 추정과 깊이 계산에 필수적입니다.

     


    더 많은 필수 영상 처리 기법과 모션 추정 방법 &비선형 최적화 기법이 궁금하다면?

     여기 강의 페이지 하단의 필수적인 학습이 필요한 기법들을 확인해 주세요.

    https://bit.ly/40jupP8 

     
     
     
     

     
     



    혹시 위에서 설명드린

    – 2D/3D 컴퓨터 비전

    – 멀티모달 AI

    – 공간지능(Visual SLAM을 활용한 공간구성)

    에 관심 있다면 2025 현시점 최신 기술까지 커버하는 [컴퓨터 비전 초격차] 강의를 경험해 보세요.

    현재로서 이렇게 최신 기술까지 커버하는 강의는 없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NeRF, 3D Gaussian Splatting, VIO, VLM, foundation model,

    불과 한 달 전 공개된 SAMURAI까지!

     

    아래 [강의 보러가기]를 클릭하여 2025 컴퓨터 비전  풀 커버 커리큘럼을 확인해 보세요!

     

     

    ⭐ 전 세계가 주목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 총집합!
    T사의 FSD 컴퓨터, A사의 Vision Pro, 오픈AI 회사의 Figure o1에 쓰이는 컴퓨터 비전 핵심 기술 학습

     

    ⭐ 3개 최종 프로젝트로 직/접 기술 구현

    ✅ 3D 공간 인식 프로젝트 (IKEA 가구들을 3D 공간에 생성 + 렌더링)

    ✅ 멀티모달 로봇 프로젝트 (언어로 로봇과 공간 정보 소통)

    Meta Quest의 AR/VR 헤드셋 트랙킹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V-SLAM 프로젝트)

     

    ⭐단순히 최신 기술만 학습? NO! 기존 기술의 원리를 응용해나가며 최신 기술 학습

    과거의 기술부터 흐름을 알려주고, 사용처를 구분해서 알려드릴게요.

     

    [강의 보러가기]

  • GPT를 사용하여 코딩을 배워야하는 이유

    GPT를 사용하여 코딩을 배워야하는 이유

    #AI(Chat GPT)

    #코딩

    #Python(파이썬)

    AI(Chat GPT)가 생기면서 많은 영역에서 편리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중 크게 영향을 끼친 영역은 코딩 영역이 아닐 수 없는데요. AI(Chat GPT)라는 인공지능이 코드도 작성해주고, 개선점도 알려주며 반복적인 작업을 간단히 자동화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일반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개발 등 분야의 경계 없이 누구나 손쉽게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허들을 많이 낮추었습니다. 더 나아가 어떤 부분까지 AI(Chat GPT)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코딩시 AI(Chat GPT)사용할 때 이점

    1)기본 Python(파이썬) 코딩

    인공지능은 기본적인 Python(파이썬) 코딩 작업을 지원을 도와줄 수 있는데요. 예를들어 AI(Chat GPT)에 간단한 스크립트 작성하도록 요청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AI(Chat GPT)은 또한  코드 완성 및 제안 기능을 제공하여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개선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2) 디버깅 및 오류 처리

    디버깅은 코딩시 어려운 작업이지만, AI(Chat GPT)은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코드의 오류를 식별하고 수정 사항을 제안함으로써 AI(Chat GPT)는 디버깅 프로세스 간소화하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구문 오류가 있는 경우 GPT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정된 버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파이썬 기술 학습 및 향상

    AI(Chat GPT)의 가장 중요한 이점 중 하나는 나만의 사수가 되어준다는 점인데요. 입문자나 초보자는 초보자는 AI(Chat GPT)에게 계속 질문하고 답을 받으며 더 쉽게 Python(파이썬)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렇듯 AI(Chat GPT)는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설명, 예제, 심지어 퀴즈까지 제공하기에 코딩할때 사용하면 매우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실제로 AI(Chat GPT)로 만들 수 있는 결과물

    1)쇼핑몰 상품 정보 크롤링

     AI(Chat GPT)를 활용하면 직접 쇼핑몰 상품 정보를 크롤링이 쉬워집니다. 

    2) 이미지 처리와 게임 코딩

    AI(Chat GPT)로 이미지를 다양하게 처리하고, 간단한 명령어로 게임 제작까지 가능합니다.

    3) 웹 개발

    AI(Chat GPT)가 있다면, 초보자도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동적으로 움직이는 웹 페이지까지 쉽고 빠르게 제작이 가능합니다.

    3. 이러한  AI(Chat GPT)활용 코딩 결과물들을 13가지 프로젝트로 배워보고 싶다면?

    6만 코딩 유튜버 투더제이가 앞선 결과물들은 물론 총 13가지 결과물을  AI(Chat GPT) 활용 13가지 프로젝트로 쉽고, 빠르고, 재밌게 알려주는 온라인 강의가 출시되었습니다! 해당 강의에서는 투더제이가 어려운 Python(파이썬) 문법 배우지 않아도 되는 AI(Chat GPT) 활용 코딩법과 더불어 실시간 피드백 & 코드 최적화로 오류를 줄이고 정확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코딩 문법이 어려워서 코딩 도전에 망설이고 계셨던 분들! 이제는 투더제이 그리고 AI(Chat GPT)와 함께 쉽게 코딩을 입문해보세요! 

    자세한 강의 내용 살펴보기

    원문 출처 : GPT는 실제로 Python 코딩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현 쿠팡 엔지니어가 말하는 AI 서비스를 위한 LLMOps (ft. MLOps와 차이점)

    현 쿠팡 엔지니어가 말하는 AI 서비스를 위한 LLMOps (ft. MLOps와 차이점)

    생성형 AI와 LLM의 등장은 새로운 데이터 시대의 탄생을 알리면서 새로운 데이터 엔지니어링 사이클이 생성되었습니다. 생성형 AI 및 LLM 기반 앱을 개발하고 관리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LOps의 발전으로 생성형  AI 운영과 대규모 언어모델 운영 LLMOps 라는 새롭고 전문화된 영역이 등장하게 되었죠. 

        

     

    LLMOps, 왜 중요할까요? 기업에서 LLM을 도입하고 활용하려면 운영을 위한 사이클을 관리하는 LLMOps가 중요한데요. 

     

    기업은 기밀 정보 유출 위험이 있어 API 기반서비스는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힘들다는거 아시죠? 그래서 자체 로컬 서버나 클라우드에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LLM을 설치하고 자체 데이터로 추가 학습 진행을 고려한다고 해요. 기업 내에서는 수십명부터 수만명까지 다양한 구성원들이 LLM을 활용하는데요. 때문에 LLM을 초기 설정하는 것부터 구성원들이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는 등 모든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LLM의 교육, 배포, 그리고 재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 필수적이에요. (*출처 : SUPERB AI) 

     

    그렇다면 LLMOps와 MLOps,어떤 것을 적용해야 할까요? 처음부터 새로 생성하거나 트레이닝하는 기존 ML 모델과 달리 대규모 언어모델은 세부적인 조정을 통해 더 적은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로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LLMOps라는 이 새롭고 전문화 된 영역에 대해서 현 쿠팡 데이터 엔지니어 엄현호님과 이야기 나눠볼게요. 

     

    Q. 먼저 이력 및 프로젝트 참여, 저서 등 간단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쿠팡에서 검색 데이터, 머신러닝 소스 데이터의 파이프라인 유지 보수 및 최적화 작업을 담당하는 데이터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4년차 개발자 엄현호 라고 합니다. 패스트캠퍼스의 Spark & Elastic Stack을 활용한 데이터 분산 처리,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Spark & Flink & Kafka 강의에서 Spark, Kafka 파트의 강의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Q. 이번에는 패스트캠퍼스에서 LLMOps 실습 강의를 진행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떤 것들을 배울 수 있을까요?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관련한 기술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각 프레임워크의 기초적인 사용법에 대해 습득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핫한 LLM 등의 ML이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운영(ML 모델 학습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ML 모델을 어떻게 배포하는지, ML 모델의 성능 등 운영 지표를 모니터링하는지, ML 모델의 소스 데이터 파이프라인들을 어떻게 구축 및 운영해야 하는지 등)되고 있는지에 대한 큰 그림을 알아갈 수 있습니다.

     

     

    Q. 강의 커리큘럼 내 주제와 내용들은 어떤 기준으로 잡으셨나요?

     

    LLM등 ML 쪽과 관련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분야로 나아가길 희망하시는 취업준비생, 신입 개발자 분들을 강의의 주요 타겟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기술들에 대해 심도 깊게 공부하기 보다는 LLM등 ML과 관련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에는 어떤 기술들이 사용되고 필요한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그러므로 여러 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 각각의 다소 깊이가 얕을 수는 있지만, 각각의 핵심적인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실무 레벨에서 부족함 없이 설명 드릴 예정입니다.

     

     

    Q. 해당 강의 기술들이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많은 회사에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다른 기술 스택을 사용하더라도 근본 원리는 대략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Q. 강의를 수강한 후 어떤 것들을 얻어갈 수 있을까요? 또는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

     

    데이터 엔지니어링 분야로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 분들의 경우, 웹/앱의 프론트엔드, 백엔드 분야와 대비해서는 실무에서 어떤 문제들을 풀어가고 업무를 해야 하는지 감을 잡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이유를 들자면, 데이터 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우 웹, 앱 분야와 대비해서 강의나 자료가 많지 않고,  실무에 대해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데이터, 준-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들에 대해 다룰 수 있으면 좋은데, 이 데이터들을 개인이 구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수강생 분들께서 이 강의를 수강한 후에는 적어도 실무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링이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존재하는지, 어떤 식으로 운영되는 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될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관련한 각 기술들에 대해 스스로 심도깊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를 다지실 수 있습니다. 혹시나 실무에서 접하시게 될 기술 스택이 강의에서 소개한 기술과 다르다고 해도, 그 기술의 근본 원리는 비슷하기 때문에 기초를 다지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Q. 수업에서 배운 내용으로 현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현업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링 관련 기술을 도입해야할 때나 개선점이 필요할 때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각각의 프레임워크의 기본 사용법과 원리에 대해 알아가고자 하실 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에 끝내는 LLMOps &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강의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해 보세요. 

     

    ▶강의 보러가기 : https://buly.kr/8pfNfK1

     

     

  • 상업적인 AI 영상은 뭔가 달라야 한다? ㅣ 영상 제작 꿀팁 & 툴 공유

    상업적인 AI 영상은 뭔가 달라야 한다? ㅣ 영상 제작 꿀팁 & 툴 공유

    요즘 상업적인 용도로 AI 영상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장소를 대여하거나 촬영 전문가를 따로 섭외할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그대로 영상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AI 기술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영상은 일반적인 개인용 영상과는 다릅니다. 특히 상업적 영상은 퀄리티와 신뢰도가 비례해야만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무리 AI 기술을 활용했다고 해도, 결과물이 부자연스럽거나 허술하다면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업적 영상에서는 AI 기술의 활용 방법과 영상 제작 프로세스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퀄리티 높은 영상을 만드는 비결: 디테일의 차이

    상업적 영상의 성공은 작은 디테일에서 결정됩니다. AI 영상 제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퀄리티 높은 이미지는 단순히 선명하거나 화려한 것을 넘어, 영상 제작의 모든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 이미지는 어떻게 보이나요?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이 이미지로 영상을 만들면 어떨까요?

    위 이미지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영상을 제작했더니, 색감이 어색하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나타났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색감 밸런스가 맞지 않거나, 화각과 빛 조절이 일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요소가 제대로 고려되지 않으면 영상은 비현실적이고 어색해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상업적 AI 영상을 제작할 때는 다음의 디테일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여기서 공개하는 자연스러운 AI 영상 제작을 위한 꿀팁!

    1. 색감 밸런스를 맞추세요: 색상이 부드럽게 연결되고, 각 장면 간의 색조가 통일감을 이루도록 조정합니다.

    2. 화각을 세심하게 선택하세요: 카메라 시점이 일관성을 유지하며, 지나치게 왜곡된 시야각을 피해야 합니다.

    3. 빛 조절을 신경 쓰세요: 빛의 방향, 강도, 그림자까지 정확히 설정해야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배경과 피사체 조화: 배경과 피사체가 조화를 이루며, 과도하게 부각되거나 튀지 않도록 조정합니다.

    2. 상업적 영상 제작을 위한 4가지 프로세스

    상업용 AI 영상을 제작할 때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제가 추천하는 4단계 프로세스입니다.

    1. Midjourney: 제작하고자하는 영상의 밑바탕이 되는 이미지를 미드저니 툴을 활용하여 제작합니다

    2. ComfyUI: 미드저니에서 미처 다 잡지 못한 디테일을 ComfyUI를 활용해서 퀄리티 업그레이드합니다.

    3. Runway + Topaz: 구도, 앵글, 카메라 무빙 등을 내가 원하는 방향에 맞게 설정하여 영상을 제작합니다.

    4. DaVinci Resolve: 영상의 현실감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색감이나 노이즈를 조절하여 마무리합니다.

     

    3. 이 강의에서 다루는 트레디한 AI 툴까지!

    1. Flux 1.1 Pro
    역대급 퀄리티를 자랑하는 Flux 최신 버전! 고퀄리티 이미지 제작이 가능해지는 활용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2. Lightroom

    자연스러운 이미지 제작 & 영상화를 위한 토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Lightroom 활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3. Topaz
    영상의 해상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상업적인 AI 영상 제작 시 꼭 필요한 AI툴 활용법을 담았습니다.

    상업적 AI 영상 제작은 단순히 기술의 활용을 넘어, 디테일한 프로세스와 툴의 올바른 사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색감, 화각, 빛 조절과 같은 디테일을 놓치지 않고 작업해야만 상업적 용도로 적합한 고퀄리티 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모든 과정과 툴은 경력 40년 이상의 AI 전문가 최돈현 강사와 20년 경력의 영상 제작자 박준상 강사로부터 배울 수 있습니다. 이들은 상업적 AI 영상 제작에 필요한 모든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며,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합니다. AI와 함께 상업적 영상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싶다면, 지금 바로 강의에 참여해 보세요!

     

    ▶▶▶https://bit.ly/3ZPEbav

     
  • LLM, RAG 평가: 체계적인 접근법이 필요한 이유 (feat. 목적별 평가, 파싱, 청킹)

    LLM, RAG 평가: 체계적인 접근법이 필요한 이유 (feat. 목적별 평가, 파싱, 청킹)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LLM과 RAG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이들이 내놓는 답변의 신뢰성과 품질이 항상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에 LLM이 내놓은 답변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한데요. LLM과 RAG 평가가 단순히 결과를 확인하는 수준에 머문다면, 모델의 가치를 온전히 실현하기가 어렵기에 평가는 체계적이고 정확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LLM 평가는 일반적인 자연어 처리(NLP)능력,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반응, 새로운 문제 상황에서의 적응력 등 더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논문 수준 구현보다 더 실무적인 노하우 및 판단력이 필요한데요. LLM, RAG 평가가 타 NLP, ML 평가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보니 평가에 대한 기준이 제대로 안잡혀 있는 경우도 많고, 그냥 주먹구구로 답변만을 평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금 과하게 표현하자면 금융 RAG를 평가하는데, “비트코인 어디까지 오를까?” 이런 쓸데없는 질문들을 던져보는 것이지요.

    정확한 평가를 위한 그 첫 번째

    1. 내 데이터에 맞는 평가 방법 알기

    LLM과 RAG의 성능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목적에 따른 지표와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8개 평가 목적으로는 번역, 요약, 대화데이터, retrieval, 질의응답, ai safety, reasoning, 비용과 속도가 있는데요. 목적에 따라 평가 목적과 지표가 달라집니다.

     

    1) 번역 목적 LLM 평가: 해석의 정확도에 중점을 맞춥니다.(+자연스러움) 성능 평가 중 가장 간단한 평가로, NLP 평가 지표(예: BLEU, ROUGE)로 평가합니다.

    2) 요약 목적 LLM 평가: 축약에 중점을 맞추며 텍스트 요약의 간결성과 정확성을 확인합니다. NLP 평가 지표과 LLM as a judge같은 메트릭을 사용합니다.

    3) 질의응답 LLM 평가: 질문의 의도에 알맞은 답변 도출에 중점 맞춥니다. Sem-score, NLP 평가 지표, LM 기반 메트릭, LLM as a judge를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평가 결과의 합산법 또한 필요합니다.

    4) 대화 데이터에서 LLM 성능 평가: LLM이 이전 대화를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 장기 기억력에 중점 맞춥니다. 질의응답에 활용된 평가 지표를 그대로 활용하나, 대화형으로 변형한 incremental 메트릭 합산법이 필요합니다.(대화의 맥락과 연속성을 고려) Sem-score, NLP 평가 지표, LM 기반 메트릭, LLM as a judge를 사용합니다.

    5) Reasoning 목적 LLM 평가: 정답과 복잡한 문제풀이 과정을 함께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reasoning 단계별 평가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데에 집중합니다. 객관식 메트릭, reasoning 단계별 평가법, LLM as a judge를 사용합니다.

    6) AI Safety 목적 LLM 평가: 답변에 욕설을 하거나 정치적으로 부적절한 답변을 하지 않는지에 중점을 맞춥니다. LLM as a judge를 사용하여 답변이 윤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지 검증합니다.

    7) 비용과 속도 평가: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낮추게 하되, 답변의 정확성을 놓치지 않게 하는 데에 중점을 맞추어 평가 지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사용 토큰 수, Time-to-First Token 속도 등을 평가 지표로 사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합니다.

    8) Retrieval 성능 평가: 다양한 메트릭을 한번에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맞춥니다. Rank-aware Retrieval Metric, LLM as a judge, LLM aRank-unaware Retrieval Metrics a judge 등의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2. RAG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청킹과 파싱

    RAG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셋의 품질과 직결됩니다. 아무리 좋은 RAG라도 데이터셋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으면 정확한 답변을 도출할 수 없는데요. 앤드류 응(Andrew Ng) 교수는 “우수한 데이터 관리와 가공이 인공지능 구축의 80%를 차지한다”라고 했을 만큼 평가의 시작은 데이터셋 제작이며, 비정형 데이터를 텍스트로 뽑아내는 청킹(Chunking)과 파싱(Parsing)은 RAG 3대 요소라고 불릴 만큼 RAG 최적화의 핵심입니다. 이에 LLM/RAG 평가를 진행할 때에는 내 데이터에 알맞게 청킹 & 파싱을 진행하고 있는지 확인도 필요합니다.

     

    이중 오늘은 파싱에 대해서만 간단히 얘기해 보자면, 

    파싱은 PDF와 파일 안의 글자를 정확히 빼내는 것이 중요한데요. 표 속에 표가 있다든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한국 문서들은 문자를 추출하는 것이 특히 까다롭습니다. 다양한 스택들을 활용하여 문서를 더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지만 대표적인 파싱 도구로는 PDF 라이브러리, OCR, 멀티모달 파서가 있습니다.

     

    1) PDF 라이브러리리

    PDF 라이브러리는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OCR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집니다. PDF Miner, PDFPlumber, PDFPlum2, PyPDF, PymuPDF, Unstructured PDF 등의 스택이 있는데요, 어떤 주제(법률, 의료 등)의 문서를 파싱 하느냐에 따라 정확도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스택별 자세한 정확도는 Auto RAG팀 velog 참고)

    2) OCR 모델

    OCR은 유로로 사용 가능하며, 복잡한 표 정보까지 파싱이 가능합니다. Llamaindex, Upstage, CLOVA OCR 등이 있습니다.

     

    3) 멀티모달 파서

    멀티모달 파싱도 유료로 사용 가능하며, Llama Parse의 MultiModal을 이용한 파싱 기능을 통해 PDF 속 텍스트와 표뿐만 아니라 복잡한 “이미지” 정보까지 파싱이 가능합니다.

    3.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실무 팁 (강의 소개)

    LLM/RAG 평가에서 중요한 것은 내 LLM/RAG 목적에 맞는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주먹구구식 접근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명확한 지표와 도구를 설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해야 개선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모델이 제공하는 답변의 정확성, 관련성, 유창성, 일관성, 최신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LLM/RAG 평가에 관련한 8가지 평가 목적부터 파싱의 몇 가지 종류까지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정확한 답변을 도출하는 데이터셋 제작부터 목적/태스크/도메인에 알맞은 LLM, RAG, agent 평가와 개선까지 더 딥한 학습이 필요한 분에게 아래 강의를 소개하며 글 마치겠습니다. 


    내가 만든 RAG 평가하고는 싶은데…

    🤔 어떤 평가 지표를 써야 할지도 모르겠고

    😔 평가 점수는 나왔는데, 이게 높은 건지 낮은 건지도 모르겠다면?

     

    시중의 모든 평가&최적화 방법을 다~ 써봤다는 Auto RAG 제작자가

    내 상황별 평가 방법과 RAG별 맞춤 스택 골라드립니다!

     

    ✅내 RAG에 맞는 평가 방법 학습(8개 CASE)

    ✅청킹&파싱을 통한 정확한 데이터셋 제작

    ✅평가 프레임워크 전격 비교

     

    내 목적에 딱 맞는 평가 지표를 사용해야

    더 정확한 답변을 도출하는 RAG 제작이 가능합니다.

     

    국/내/유/일 RAG 평가와 최적화 강의 지금 시작해 보세요🔥

    ▶강의 보러가기: https://bit.ly/3OSAwTX 

     

  • 전세계 2천명 이상이 지원한 AI국제영화제에서 수상자를 배출한 비결이요?ㅣAI 스토리의 A to Z

    전세계 2천명 이상이 지원한 AI국제영화제에서 수상자를 배출한 비결이요?ㅣAI 스토리의 A to Z

    | AI로 스토리 작성을?

     

    지난 10월 25일,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대한민국 AI국제영화제’가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막했는데요. ‘AI가 선사하는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 창작을 지원하고, AI 시대에 콘텐츠 창작의 길과 상생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취지에서 상회부터 컨퍼런스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어요. 


       


    이번 영화제에는 내러티브, 다큐멘터리, 아트&컬처, 자유 형식 총 4개의 분야에 전 세계에서 총 2067건의 작품이 출품되었다고 해요. 이중 분야별 1~3등의 자리를 두고 본선을 진출한 AI 영화 26편이 경쟁을 했어요. 여기서 무려 대상을 포함해 내러티브 부문과 자유 부문, 총 3개 작품의 수상자가 동일한 한 사람에게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작성에 대한 강의를 수강했다고 하는데요! 

    그 ‘한 사람’이 어떤 분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전 세계 2천 명 이상이 참가한 영화제에서 다수의 수상자를 배출한 스튜디오사월 대표 ‘양나리’님과의 인터뷰! 지금부터 AI 스토리의 A to Z, 함께 알아봅시다.


    Q. 간단하게 강사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스튜디오사월 대표 양나리라고 합니다. 콘텐츠 플랫폼 및 기획 제작 회사 스튜디오사월을 운영하며, 최근에 미디어학과 박사과정에 복학해 공부,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주)스튜디오 사월은 2021년에 법인 설립한 콘텐츠 스타트업입니다. SEEnario라는 플랫폼을 운영하며 AI 보조작가 서비스를 도입했었구요. Perpic.AI라는 AI 이미지 생성 플랫폼도 개발했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콘텐츠와 AI를 접목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AI와 함께 넷플릭스 드라마 대본을 웹소설로 각색하는 작업도 했었구요.  최근에는 AI를 예술과 콘텐츠에 접목시키는 AI 영화감독, 작가, 크리에이터, 교수, 미디어 아티스트 등 8인의 인터뷰집 <AI는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라는 책을 기획 출판했습니다.

     

     


    Q. 강사님이 스토리 작성 시 AI를 처음 사용하게 된 계기를 말씀해 주세요.

    A.  2021년 법인 설립 전부터 저의 사업계획서에는 ‘AI 보조작가’에 대한 장표가 있었습니다. 플랫폼에서 AI 보조작가를 구현하기 위해 실제로 제가 구할 수 있는 200여 편의 시나리오를 씬 별로 가공하여 기존 영화 시나리오를 씬 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고자 했었지요. 그렇게 준비를 하던 중 2022년 11월, Chat GPT를 영화처럼 만나게 되었고 저는 소리쳤습니다. “이거다! 이제 진짜 AI 보조작가를 만들 수 있다!”

    2023년 1월 우리 회사의 개발자, 기획자 등 10명이 채 안 되는 인원이 설날 연휴 일부를 자진 반납하고, AI 기술로 보조작가를 만드는 정부 지원 사업에 몰두했었습니다. 결과론적으로는 그 지원 사업에 선정되지 못했지만, 어쨌건 저는 생성형 AI가 처음 나오자마자, 아니 그전부터 ‘AI 보조작가’에 대한 열망이 있었고, GPT의 등장은 내 꿈을 실현하게 만들어 준 도구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GPT가 처음 나오자마자부터 생성형 AI로 글도 쓰고, 서비스에도 접목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Q. 스토리 작성 시 AI를 활용하면 장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  작가 중심으로 보았을 때, AI를 활용하는 가장 큰 장점은 더 이상 혼자 쓰지 않는다는 겁니다. 빈 화면에 커서가 깜빡이고, 손은 움직이질 않고 아 뭐 쓰지… 작가라면 매일 아침 겪는 공포죠.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 언어 모델)이 쏟아내는 이야기를 읽으며 글자가 무한히 생성되는 것을 보며 자신의 작품에 대해 머리를 굴리며 생각합니다. 

    GPTS에 주인공의 성격, 외형, 트라우마, 목표, 인간관계 등도 입력해서 주인공과 대화하기도 합니다. 씬10에서 니 감정이 어땠어? 하고요.  심지어 저는 할루시네이션 조차 창작의 소스로 씁니다. 기자나 연구원은 팩트가 중요하지만, 작가에겐 그렇지 않을 때가 많으니까요. 또, 저는 멀티 모달이 도입된 이후로는 사진을 첨부해 사진을 바탕으로 스토리 구상을 하구요. SF 판타지 장르처럼 상상력이 필요할 때도 아주 유용히 쓰고 있습니다.  

     


    Q. 지금껏 AI 시나리오와 관련해 여러 강의를 해 오셨는데 수강생 중 기억에 남는 성공 사례가 있나요? 

    A.  문체부, 콘진원, MBC C&I가 주최/주관하는 ‘AI·XR 콘텐츠 활용 멀티플랫폼 드라마 기획개발 랩’의 집행위원으로, AI 시나리오 강의를 했었습니다.  또 과기부,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홍익대에서 진행하는  AI·디지털 기반 미디어 융합 인재 교육에서도 AI 시나리오 강의를 했었고, PGK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AI 시나리오 강의를 했었죠. 

    수강생 중에는 이미 장편 데뷔한 영화감독님, 웹소설 작가, 드라마 작가, 미디어 아티스트, 기자 등 다양합니다. 이미 전문가이지만, AI를 어떻게 자기 작품에 잘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궁금한 것이죠. 그분들은 자기 작품에 AI를 잘 접목해서 쓰고 계시고, 사례를 든다면 2024년에 열린 AI국제영화제에서 대상, 내러티브 부문 1등, 프리부문 3등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아예 AI를 처음 써보면서 창작도 처음인 작가 지망생들도 꽤 있습니다. 그중에는 카카오 페이지에 웹소설 프로모션 심사 받고 있는 분, 웹툰 스토리를 AI로 써서 웹툰 공모전에 낸 분도 있고요. 매우 다양합니다.  

     


    Q. 강사님의 강의를 들은 수강생이 AI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비결이 무엇이었다고 생각하시나요? 

    A. 상을 받으신 분은 AI 영상 기술을 잘 썼기 때문도 있을 거고, 시나리오가 좋아서도 있을 겁니다. 이미 훌륭한 창작자라 수상한 것이겠지만, 제가 도움을 준 것이 있다면 커스텀 AI를 활용하는 법이 아닐까 합니다. 절대 그냥 질문하면 안 됩니다. 작가와 작품에 맞는 ‘커스텀 AI’를 만들어서 질문해야 합니다. 작가의 성향과 현재 쓰고자 하는 작품에 맞게 스토리를 생성하고, 캐릭터를 창조하고, 세계관을 설계하고, 플롯을 구성하고, 원고를 쓰고, 퇴고/피드백하는 것 등을 커스텀으로 만들어서 활용해야 하고, 이것을 어떻게 하는지 가르칩니다.

    왜 이렇게 하는가 하면 AI가 스토리를 생성할 때 기승전결의 방향, 퇴고의 기준을 내가 정하고, 나의 이전 작업물을 반영해서 내 스타일을 고수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커스텀으로 제작할 수 있는 GPTs나 클로드 Project를 주로 활용하는 것이죠. 제 강의에는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웹소설 작가, 미디어 아티스트, 기자 등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데 그때마다 빠지지 않는 후기가 있습니다. ‘그냥 AI에게 질문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AI 커스텀 과정에서 무궁무진한 세계를 알게 되었다.’고요.



    Q. 이번에도 강의를 하시는데 주로 어떤 내용을 다룰 예정이신가요?

    A. 처음에는 LLM의 원리와 한계 및 말뭉치(토큰)의 확률치로 문장을 생성해 주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문학에서의 AI 활용과 AI 저작권에 대한 현황을 짚어본 다음 실제 실습으로 넘어갑니다.  작가의 취향이나 성향을 먼저 살펴보고, 작가가 이전에 쓴 글들도 AI로 분석해 보는 것이죠. 그리고 나서 AI 영화 및 웹소설의 아이디어 기획, 시놉시스(기획안) 작성, 캐릭터 설계, 세계관/플롯 구성, 초고 작성, 피드백 한 뒤 퇴고하는 모든 과정을 AI와 함께 합니다. 이때, 작가/작품 개인에게 맞춤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GPTS나 Claude의 Project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걸 배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저는 생성형 AI를 도입해 보조작가 서비스를 런칭해보고, 남들보다 조금 빨리 생성형 AI를 많이 써 보았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최소 100화 되는 웹소설, 12시간 분량의 드라마 이렇게 긴 스토리를 일관성 있게 쓸 수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스토리 생성기, 초고 생성기, 대사 생성기, 피드백 생성기 등을 각자 만들어 스토리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수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Q. 스토리 창작에 고통받는 현직/예비 작가를 위한 AI 활용 꿀팁 및 조언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A.  1. 기획 단계 때 무한 아이디어 생성 도구로 활용하세요

     2. 다양한 자료 조사를 위한 지능적 검색 도구로 사용하세요. 

    3. 설정한 플롯, 캐릭터, 세계관에 대해 피드백을 나누고 더욱 세밀히 구축하기 위한 스토리 강화 도구로 활용하세요. 

    4. 머리에서 손까지의 경로가 가끔 멈출 때 협력적 사고 도구로 활용하세요.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스토리 구조를 이미 잘 알고 있는 작가는 LLM이 하는 무수한 말을 잘 배치해서 스토리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AI와 함께 스토리를 쓸 때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은 내가 판단의 정확한 기준을 잡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작가가 스토리 작법에 대해 능통해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어야 하고 필요할 때마다 AI를 부려먹으며 각종 소스를 자유자재로 빠르게 얻으며 활용하는 것입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작가 지망생들이 충분한 습작 시간을 보내지 않으면 AI 의존도가 높아져 혼자 글 쓰지 못할 수 있으니, 너무 AI에게 많은 것을 의존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AI 시대, 예술은 새로운 장르를 얻게 되었고, 예술가는 대체되지 않는다, 다만 확장됩니다. 

     



    | 나만의 AI 보조작가와 함께 스토리 창작을!

     

    패스트캠퍼스의 [스튜디오사월 양나리 대표의 AI 스토리텔링 노하우 : 하루 1시간 AI 보조작가로 스토리 창작] 강의에서는 AI로  보조작가를 구현한 후 장르별 스토리 생성부터 캐릭터 일대기 구축 플롯 작성, 마지막 퇴고 작업까지 AI의 도움을 받아 나만의 스토리를 창작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 AI를 100% 활용해 남다른 스토리를 창작하는 양나리 강사님의 AI 스토리 창작에 대한 강의뿐만 아니라 SF 작가와 AI 영화감독 등 웹소설과 AI 영화 최고 선두에 있는 3인의 추가 강사님의 강의도 준비되어 있답니다. 여기에 총 50만 원 분량의 자료 모음집까지! 모두 무료로 제공해요. 또한, 1:1 or 그룹 피드백권을 구매하면 나만의 AI 보조작가를 더 업그레이드하고 스튜디오사월 작가님들에게 내 스토리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니 이 기회 놓치지 마세요!

     

    나만의 AI 보조작가 구현해 ‘내 글 1편’ 완성하고 싶다면?

    <스튜디오사월 양나리 대표의 AI 스토리텔링 노하우 : 하루 1시간 AI 보조작가로 스토리 창작> 강의 수강하러 가기

     

     

끝없이 이어질 인공지능의 이야기
AI:ing에서 당신의 커리어 성장이 시작됩니다.

ALL

IT

AI:ING only

AI Double UP

AI 자격증(AICA)

이벤트